안녕하세요.
부동산 정보를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하여 포스팅을 하고 있는 봄이네 엄마입니다. 저만 알고 있는 것보다 여러 사람들이 많은 혜택을 나눌 수 있도록 공유하려고 합니다. 어려운 내용보다는 최대한 알기 쉽게 정리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니까요. 부족하더라고 많은 것을 얻어 가셨으면 좋겠습니다. 부동산 정책, 정보는 시간이 생명인 거 같더라고요. 조금만 늦거나 예전 정보를 알고 진행하면 큰 손실이 발생하거나 난감한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. 최신 정보를 꼭 알고 진행하셔야 합니다.
그럼 오늘은 서울 및 경기도 거주하는 무주택자 청년 월세 지원 받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청년 월세 지원 대상
2. 청년 월세 지원사업 내용
3. 청년 월세 지원 기간 및 지급 기간
4. 신청방법
국토교통부는 2022년 8월 17일 목요일, 청소년을 위한 특별 월세 지원 복지 정책을 발표했습니다.
노동계급 중 저소득 청년층은 주거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다.
이 청년 임대료 지원 정책으로 주거비를 부담하는 분들은 꼭 확인하고 혜택을 받으셔야 합니다.
청년 월세 지원 대상
1. 독립 거주 무주택 청년
2. 본인 소득이 중위소득 60% 이하 + 원가구소득 100%이하
3. 임차 보증금 5천만원 이하 월세 60이하로 거주중
1) 연령 기준
월세는 만 19~34세 청년만 월세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, 만 19~34세는 1월 1일부터 월세 지원을 받을 수 있다.
2) 생활수준
보증금 5000만원 이하 월세 60만원 이하로 부모와 별거한 노숙자만 지원받을 수 있다.
보증금이 6천만원을 초과하면 월세를 지원받을 수 없으나, 월세가 60만원을 초과하고 보증금을 환산한 월세가 70만원 미만이면 월세를 지원받을 수 있다.
3) 소득, 재산 기반
소득 및 재산기준은 청년임대지원사업 대상 노숙청소년뿐만 아니라 부모를 포함한 원세대 기준을 확인하여 월세 지원 여부를 판단한다.
청년세대 및 원세대의 소득 및 재산기준을 판단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구분 | 청년가구 | 원가구 |
소득기준 |
중위소득 60% 이하
(1인가구 기준으로 월 117만원 이하)
|
중위소득 100% 이하
(3인가구 기준으로 월 419만원 이하)
|
재산기준 | 1억 7백만원 이하 | 3억 8천만원 이하 |
다만 만 30세 이상, 혼인, 미혼부·모 또는 기준 중위 소득의 50%(1인 기준 월 97만2406원) 이상의 소득이 있어 부모와 생계를 달리한다고 볼 수 있는 청년은 부모와 관계없이 청년 가구의 소득과 재산만 확인합니다.
청년 월세 지원사업 내용
위의 청소년 임대료 지원 프로그램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금액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실제 납부하는 월세를 기준으로 월 최대 20만원까지 받을 수 있으며, 최대 12개월까지 월 할부로 받을 수 있습니다.
군입대, 90일 이상 국외체류, 친족가입, 전출 후 변경신청 생략 등의 경우 올인원 신청이 정지되므로 신청 시 주의가 필요하다.
다만, 방학 중 임시로 원세대로 이사를 하게 되면 월세를 정상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다.
청년 월세 지원 기간 및 지급 기간
1) 신청기간
2022.8.22(월)부터 1년간
2) 지급 기간
2022년 11월 ~ 2024년 12월
신청방법
복지로 온라인 홈페이지(https://www.bokjiro.go.kr)’ 혹은 청년이 거주하는 주민등록상 거주지 관할 동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, 신청은 22일부터 2023년 8월까지 1년간 신청이 가능합니다.
지금까지 서울 및 경기도 거주하는 무주택자 청년 월세 지원 받는 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.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 앞으로도 좋은 정보 포스팅 많이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'부동산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시적 1가구 2주택 취득세, 양도소득세 비과세, 종합부동산세 (0) | 2022.09.06 |
---|---|
부동산 증여 장점 2가지 (주택, 아파트, 등) (0) | 2022.08.24 |
1가구 1주택 종합부동산세(종부세) 비과세, 2주택자 종합부동산세(종부세) 완화 (0) | 2022.08.08 |
부동산 양도소득세 계산기 사용법 (0) | 2022.08.07 |
621 부동산 대책 : 취득세면제, 전입의무폐지 (0) | 2022.07.18 |
댓글